HOME Q&A 이용안내 진행상황 즐겨찾기 로그인



작명신청 개명/예명신청 감명신청 상호신청 아호신청 궁합신청 택일신청 도아작명원소개

leftbanner02.jpg
leftbanner03.jpg


사주정보

절기·월건 | 격국 | 왕쇠 강약 | 생극합화 | 생극합화2 | 순용과 역용 | 용신론 | 용신로2 | 격국론 | 직업론 | 조후론
절기·월권

제1절 하루의 12시진
1. 천문학상의 24시간
지구는 끊임없이 자전하여 태양 광선이 24시간마다 비추었다가 사라지는 과정을 주기적으로 반복한다.
지구가 한번 자전하는 것이 하루이다.
하루의 길이는 보통 24시간으로 나뉘며 매 시간은 60분으로 나뉘고 매분은 60초로 나눈다.
이것이 현대인이 시간을 계산하는 단위인 것이다.

그러나 이것은 지구가 365일 자전하는 1년의 시간을 평균하게 나눈 것에 불과하다.
엄밀히 말하면 지 구가 정확히 24시간 동안 자전하는 날은 일 년 중에서 양력으로 4월 15일,
6월 14일, 9월 1일, 12월 24일 의 4일에 불과하다. 다른 날은 24시간을 약간 초과하거나 미달한다.
특히 양력 11월 2일은 16분 21초를 더 초과하고, 2월 11일에는 14분 25초가 부족하다.

2. 사주학상의 12시진
하루의 시간은 주야가 나뉘어 있지 않고 연결되어 있다.
그러나 사주학자들은 하루를 12시진時辰으로 나누었는데 1시진은 2시간이다.
그리고 각각의 시진에 12지지를 대입하여 자시, 축시, 인시 등으로 불러 왔다.
매일의 하루는 엄밀히 말하면 각각의 날마다 다르지만 편의상 12시진이 일정하다고 평균을 내어 정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15분을 1각이라고 부르고, 매 시진은 8각으로 이루어져 있다.
평균 태양시는 넓은 지역 내지 하나의 국가에 있는 모든 장소에 적용되는 것이므로 태양이
남중하는 정오는 엄밀히 말하면 각각의 모든 지역이 다른 것이다.
사주학상의 12시진과 24시간의 관계는 다음의 도표와 같다.
(낮 12시 정각에 태양이 남중한다고 가정)

진태양시

23-1

1-3

3-5

5-7

7-9

9-11

11-13

13-15

15-17

17-19

19-21

21-23

명리시진


제2절 1년의 24절기

1. 지구의 공전과 4계절의 관계
지구는 자전을 할 뿐만 아니라 태양의 주위를 공전한다. 
1년에 한번 태양을 한바퀴 도는데 천문학자 들이 통계를 내본 결과 지구가 한번 공전하는데 
걸리는 시간은 춘분에서 시작하여 다음해 춘분까지를 기준으로 365일 5시간 48분 46초가 
소요된다. 소수점으로 표시하면 365.242216일이 걸리는 것이다. 

지구의 자전축은 공전궤도면에서 23.5도 경사가 져 있다. 
그렇기 때문에 지구 표면의 각 지역마다 낮과 밤의 길이가 다르고 기후 변화도 다르게 된다. 
태양이 정면으로 비추는 지역은 몹시 덥고, 기온이 높아진다. 
태양이 적도를 정면으로 비출 때가 한국같이 북반구에 위치한 지역에서는 춘분이나 추분이 되고 
태양 이 북회귀선을 정면으로 비출 때가 한국에서는 동지가 된다. 
그러므로 사계절마다 기후가 다르게 되는 것이다. 4계절을 구분하는 기준은 다음과 같다. 

① 입춘立春은 봄이 시작되는 기준이고, 입하立夏는 여름의 시작이며, 
입추立秋는 가을의 시작이 되고, 입동立冬은 겨울의 시작이 된다. 

② 음력 1·2·3월은 봄이고, 4·5·6월은 여름이고, 7·8·9월은 가을이고, 10·11·12월은 겨울이 된다. 
지구가 공전하는 궤도는 원이 아니고 타원이므로 각 계절마다 지구가 운행하는 속도가 다르다. 
따라서 각 계절마다의 날짜 수가 서로 다른 것이다. 천문가들은 다음과 같이 측정해 냈다. 

? 봄은 92일 20.2시간 ? 여름은 93일 14.4시간 

? 가을은 89일 18.7시간 ? 겨울은 89일 0.5시간 

(합계 365일 5.8시간=일 년 시간의 길이) 

사주학에서는 윤달에 상관없이 입춘부터 봄이 시작되고, 입하부터 여름이, 입추부터 가을이, 
입동부터 겨울이 시작된다고 간주한다. 

2. 24절기의 명칭 
온대와 한대 지역에 거주하는 사람들은 일 년 동안의 기후 변화가 주기적으로 매년 반복된다는 
사실 을 발견해 냈다. 일 년 12개월은 각각의 월마다 1절節과 1기氣를 가지고 있다. 
그러므로 1년에 12절과 12기가 있는 셈이다. 그래서 일 년은 24절기로 구성된 것이다. 
24절기는 순전히 지구가 태양의 둘레를 공전하는 기간을 구분지은 것이고, 
달이 지구를 공전하는 관계를 기준으로 삼은 것이 아니다. 

일 년 12개월은 자, 축, 인, 묘, 진, 사, 오, 미, 신, 유, 술, 해 12개의 지지로 표시한다. 
태양이 남회귀선 을 정면으로 비출 때를 자정子正이라 부르는데 이것이 바로 동지점이다. 
태양이 적도를 정면으로 비출 때를 묘정卯正 또는 유정酉正이라고 하는데 이것은 바로 
춘분점과 추분점이다. 

태양이 북회귀선을 정면으 로 비출 때를 오정이라고 하는데 이때가 하지점이다. 
이리하여 자, 오, 묘, 유의 네 가지 정점正點을 기준 으로 12개의 지지를 순서대로 배합시켜 
12개월이 된 것이다. 그리고 각 월의 실제 기후는(중국 중앙 지 대를 기준으로 할 때) 24절기의 
명칭과 부합하게 되어 있다. 
보통 1절 1기는 각기 매월의 절반을 차지하 고 있는데 24절기의 명칭을 소개하면 다음과 같다. 

자월 ― 대설에서 시작하여 동지를 거쳐 소한까지의 기간. 
축월 ― 소한에서 대한을 거쳐 입춘까지 
인월 ― 입춘에서 우수를 거쳐 경칩까지 
묘월 ― 경칩에서 춘분을 거쳐 청명까지 
진월 ― 청명에서 곡우를 거쳐 입하까지 
사월 ― 입하에서 소만을 거쳐 망종까지 
오월 ― 망종에서 하지를 거쳐 소서까지 
미월 ― 소서에서 대서를 거쳐 입추까지 
신월 ― 입추에서 처서를 거쳐 백로까지 
유월 ― 백로에서 추분을 거쳐 한로까지
술월 ― 한로에서 상강를 거쳐 입동까지 
해월 ― 입동에서 소설을 거쳐 대설까지 

이리하여 자월(음력 11월)은 대설과 동지를 포괄하고 있고 축월(음력 12월)은 소한과 대한을 
포괄하고 있고, 인월(음력 1월)은 입춘과 우수를, 묘월은 경칩·춘분을, 진월은 청명·곡우를, 
사월은 입하·소 만을, 오월은 망종·하지를, 미월은 소서·대서를, 신월은 입추·처서를, 유월은 
백로·추분을, 술월은 한로·상강을, 해월은 입동과 대설을 포괄하고 있는 것이다. 

여기서 대설·소한·입춘·경칩·청명· 입하·망종·소서·입추·백로·한로·입동은 절이라고 하고, 
동지·대한·우수·춘분·곡우·소만· 하지·대서·처서·추분·상강·소설은 중기中氣라고 부른다. 

사주학에서 매달의 시작은 절이 드는 시각부터 다음의 절이 드는 시각까지 계속된다. 
제3절 1년의 12월건月建

음력에서는 큰 달과 작은 달로 나누며 큰 달은 30일, 작은 달은 29일이다. 
이리하여 12개월을 합하면 1년은 364일이 된다. 

양력의 365일보다 1일이 적은 숫자다. 
이리하여 3년마다 윤달을 두는데, 약 19년이 지나면 7개의 윤달이 생긴다. 
이것을 19년의 양력과 비교하면 2시간 9분 36초의 차이가 난다. 
이런 연고 로 옛 사람들은 정확을 기하기 위해 1년을 24절기로 나누고 그것을 매달에 
대입시켰던 것이다. 
24절기 야말로 사주학에서 달력보다 더 중요하다. 

그런데 중국의 역법曆法은 월건月建이 일치하지 않았다. 
하나라 때는 인을 정월로 하고 묘를 2월로 했 고 진을 3월로, 축을 12월로 정했다. 
그래서 건인력建寅曆이라고 불렀다. 상나라 때는 축을 정월로 인을 2월로 묘를 3월로, 
자를 12월로 삼았으므로 건축력建丑曆이라고 불렀다. 

주나라 때는 자를 1월로 축을 2 월, 인을 3월, 해를 12월로 삼았다. 
그래서 건자력建子曆이라고 했다. 진나라 때는 해를 정월로 자를 2월 로 축을 3월로, 
술을 12월로 삼았다. 
그래서 건해력建亥曆이라고 불렀다. 한무제가 다시 인을 정월, 묘를 2월, 축을 12월로 정하여 
지금에 이른 것이다. 

제4절 한국의 표준시와 서머타임 

각각의 지역마다 태양이 남중하는 시각이 정오가 되며 어떤 날의 남중할 때부터 그 다음날 
남중할 때까지의 시간을 1진태양시라고 하고 1진태양일을 24등분한 것을 1진태양시라고 한다. 
진태양일은 지 구가 타원을 그리며 태양의 주위를 공전하기 때문에 길이가 균일하지 않다. 
그래서 평균태양일과 평균 태양시를 설정하는데 평균태양시에서 진태양시를 뺀 값을 
평균차平均差라고 한다. 

인위적인 표준시는 기상학적인 진태양시와 다르다. 
지구 경도의 기준은 영국 런던을 지나는 자오선이다. 
즉 영국 그리니치 천문대의 제1호 망원경의 십자선을 통과하는 자오선이 지구 경도의 0°로 
되어 있 다. 한 지점의 경도는 각 지점의 자오면과 그리니치 자오면과의 교각을 말한다. 

이 각도는 그리니치 자 오면의 동쪽과 서쪽으로 각각 180°까지 측정하고 동경, 서경으로 구별한다.
각 지역마다 평균 태양이 남중한 시각이 지방 평균시의 정오가 된다. 
그러므로 지표상의 같은 경도에 있는 곳은 위도의 차이와 상관없이 같은 시각이 되고 경도가 
달라지면 지방 평균시도 달라진다. 경도 15°는 1시간의 차이를 가져 오고 경도 1°는 4분의 차이를
가져온다. 
그러므로 각국에서는 표준시를 설정하여 사용하고 있다. 한국 의 표준시는 그리니치 
표준시보다 9시간 빠르다. 

서울은 동경 127°30′자오선이 통과하는 곳이다. 
이 자오선의 지방 평균시를 쓴다면 한반도의 이상 적인 표준시가 될 것이다. 
그러나 조선 말기까지 동경 120°의 중국 경선을 표준 자오선으로 써서 오전 10시 30분에 
오午시가 시작되다가 1910년 한일합병이 되자 그해 양력 4월 1일 0시부터 종래의 중국 표준시를 
버리고 일본 표준시를 썼으므로 동경 135°의 일본 지방 평균시를 채택하여 오전 11시 30분부터 
오시가 시작되었다. 
동경 135°자오선은 일본의 고베의 서쪽 20km 부근을 지나는 자오선인데 한반도의 국토를 
지나가는 일은 없다. 

그러다가 1954년 양력 3월 21일 0시부터 동경 127°30′의 지방 평균시를 채택하였다. 
이로써 한국의 독자적인 표준시가 사용되어 오전 11시부터 오시가 시작되어 12시 정각에 정오가 
되고, 밤 0시 정각에 자정이 되었던 것이다. 그러다가 1961년 양력 8월 10일 0시부터 동경 135°의 
자오선을 표준 자오선으 로 하고 동일의 0시를 0시 30분으로 정한 것이므로 그때부터 지금까지 
오전 11시 30분부터 오시가 시작 되어 12시 30분에 정오가 되었던 것이다. 

그때부터 한국에서는 동경 135°의 경선을 표준 자오선으로 정 했으므로 
서울의 경도 동경 127°30′과는 7°30′의 차이가 난다. 
그 경도 차는 30분의 시간차를 가져온 다. 그러므로 서울을 기준으로 할 때 현재 우리가 사용하고
있는 시간은 기상학적 진태양시로는 30분 빨라진 것이 된다. 
그러므로 사주학적 시간을 계산할 때는 현재 사용되는 시간의 오전 11시 30분부터 오시가 
시작되어 12시 30분에 정오가 되고, 오후 11시 30분부터 자시가 시작되어 0시 30분에 자정이 
되고 오전 1시 30분부터 축시가 시작되는 것이다. 우리나라 실정에 안 맞는 일본의 표준시를 
사용하는 불 행이 하루 빨리 시정되야 할 것이다. 

이제부터 서머타임에 관해 설명한다. 
서머타임이란 여름에는 낮이 길기 때문에 일광 시간을 절약하려 고 인위적으로 표준시를 고쳐서 
사용하는 것을 말한다. 그 때문에 서머타임이 실시되는 기간 동안에 출 생한 사람의 사주를 볼때 
시주時柱를 정함에 있어 엄밀한 주의가 필요하게 된다. 

한시간 빨라지기 때문 에 서머타임 기간 동안에는 오전 11시 30분이 되어도 오시가 아니고 
사시인 것이다. 왜냐하면 실제 시간 은 10시 30분이기 때문이다. 서머타임은 우리나라에서는 
미군정 때부터 실시하였고 정부 수립 후에도 실시되었다. 
이에 관계된 최초의 공포문은 다음과 같다. 


일광절약시간에 관한 공포 

조선 인민에게 고함. 재조선 미육군 사령관으로서의 본관에게 부여된 권한에 의하여 본관은 
아래와 같이 공포함. 

일광절약 시간을 1948년 5월 31일 자정부터 1948년 9월 22일 자정까지 시행하여 
이를 '표준일광절약시간' 이라 칭함. 
1948년 5월 31일 자정에 모든 시계를 한 시간 앞세우고(즉 자정에 오전 1시가 되게 하고) 
1948 년 9월 22일 자정에 모든 시계는 한 시간 뒤세움(즉 복구함)을 요함. 

서기 1948년 5월 20일 조선 서울에서 서명함. 

조선 미육군사령관 미육군 중장 존 R.하지 


이리하여 시작된 서머타임 제도는 매년 시행되다가 13년간(1948년∼ 1960년까지)의 수명으로 
끝나는 가 했더니 1987년부터 다시 시작되었다. 

아래에 한국 표준시의 변경 사항과 서머타임 실시 기간을 기록 하니 이 책을 읽는 독자는 
만세력위에 표시하여 사주를 잘못 정하는 일이 없도록 하기 바란다. 


① 시간의 변경 

·1897년 이전 ― 오전 10시 30분에 오시가 시작되고 11시 30분을 정 오라고 함. 

·대한제국 시대 ― 오전 11시부터 오시가 시작되고 오후 11시부터 자 시가 시작됨.
(대한제국 시대는 1897년∼1909년까지임) 

·1910년 양력 4월 1일 0시부터 ― 오전 11시 30분부터 오시가 시작되 고 오후 11시 30분부터 자시가 시작된다. 
한일합병으로 일본의 표준 시를 쓰기 시작하여 해방 후까지 이어진다. 

·1954년 양력 3월 21일 0시부터 1961년 8월 10일 0시까지 ― 오전 11 시부터 오시가 시작되어 12시에 정오가 되고, 
오후 11시부터 자시가 시작되어 0시에 자정이 된다. 
한국의 독자적이고 정확한 시간을 썼 기 때문이며 이 기간이야말로 한국의 표준시가 사주학상의 시간과 
일치한 시기였다. 이때는 동경 127°30′을 한국의 표준 자오선으로 정했던 것이다. 

·1961년 양력 8월 10일 0시부터 현재까지 ― 오전 11시 30분부터 오 시가 시작되어 12시 30분이 정오가 되고, 
오후 11시 30분부터 자시 가 시작되어 12시 30분에 자정이 된다. 다시 일본의 표준시 를 따랐 기 때문이다. 


② 서머타임(한 시간 앞당긴다. 양력 표기) 기간 

·1948년 양력 5월 31일 자정부터 1948년 양력 9월 22일 자정까지 

·1949년 양력 3월 31일 자정부터 동년 양력 9월 30일 자정까지 

·1950년 양력 4월 1일 자정부터 동년 양력 9월 10일 자정까지 

·1951년 양력 5월 6일 자정부터 동년 9월 9일 자정까지 

·1954년 양력 3월 21일 자정부터 5월 5일 자정까지 

·1955년 양력 4월 6일 자정부터 동년 9월 22일 자정까지 

·1956년 양력 5월 20일 자정부터 동년 9월 30일 자정까지 

·1957년 양력 5월 5일 자정부터 동년 9월 22일 자정까지 

·1958년 양력 5월 4일 자정부터 동년 9월 21일 자정까지 

·1959년 양력 5월 4일 자정부터 동년 9월 20일 자정까지 

·1960년 양력 5월 1일 자정부터 동년 9월 18일 자정까지 

·1987년 양력 5월 10일 02시부터 10월 11일 03시까지 

·1988년 양력 5월 8일 02시부터 10월 9일 03시까지 


※1954년 양력 3월 21일 0시부터 1961년 양력 8월 10일 0시까지는 한국의 진정한 시간을 
사용했으므 로 오전 11시 정각부터 오시가 시작됨에 유의할 것. 


③ 경도의 차이에 따른 진태양시의 추산 

태양이 남중한 시각이 각 지점의 정오이다. 
동경 135°를 표준시로 사용하고 있는 현 실정에서 동경 135°의 기준 경선에서 1°씩 서쪽으로 
경선이 이동할 때마다 4분이 빨라진다. 
그러므로 동경 128°가 지 나가는 강원도 원주 지방은 동경 135°- 1 28°= 7°의 차이가 생기므로
7°×4분=28분이 빠르게 된다. 

그러므로 현재의 일본 기준표준시를 쓰는 기간에 원주에서 오전 11시 정각에 출생한 사람은 
28분 앞당긴 셈이므로 진정한 기상학적 진태양시에서는 오전 10시 32분에 태어난 셈이고 
따라서 오시가 아닌 사시 에 태어난 것이 된다. 

이와 같이 출생한 지역의 경도와 동경 135°의 차이로 정확한 출생 시간을 측정하여 출생시를 
정해야 한다. 그러므로 지도를 펴놓고 출생지를 알아보아야 하고, 출생 당시의 표준시가 
어떤 자오선을 기준으로 한 시간인지, 그리고 서머타임 기간동안에 출생하지 않았는지를 
정확히 계산한 후에 사주를 정해야 정확할 것이다. 

그리고 위도에 대해 참고로 말한다면 한국같은 북반구에서는 남쪽으로 내려갈수록 기온이 
높아지므 로 같은 시간, 같은 경선상에서 출생한 사람일지라도 북쪽에서 출생한 사람은 
한냉한 기가 많고 남쪽에 서 출생한 사람은 온난한 기가 많으니 사주를 볼 때 참고해야 하며, 
출생시에 불 옆에서 낳는지 물 옆에 서 낳는지도 알아 두면 적중률이 높아진다. 
그러나 위도의 차이보다 경도의 차이가 더욱 중요한 것이니 이것은 사주가 달라지기 때문이다. 



작명가소개 | 사이트 이용안내 | 개인정보처리방침 | 서비스이용약관

도아작명원 서울시 관악구 신사로 110, 201호(신림동) / 구.관악구 신림동 499-50 진양빌딩2층 201호 / 원장 : 고대화
사업자등록번호 : 242-08-00293 통신판매신고번호 : 제 2021-서울관악-1299 호
상담실 (02)597-8802 / 070-8877-2727 휴대폰 010-6204-2266 doa27@naver.com